안녕하세요 마푸투 시모어 목장의 권유리 목녀입니다. 저는 지난 경건의 삶 수업을 들으며 하나님께 받았던 마음들을 나누려고 합니다. 경건의 삶 수업은 규칙적인 경건의 시간과 함께 경건의 훈련을 하며 자아 중심에서 타아 중심으로 사고방식을 변화하며 신앙생활에 방해되는 한 가지 결점을 보완하고 새로운 습관을 들이는 영적과제에 초점을 맞춤으로서 하나님과의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이웃들과의 사랑의 관계를 배양하는 연습을 하는 수업입니다.
Hello, I’m shepherd Yuri Kwon from Maputu-Seymour house church. I would like to share the thoughts I received from God while listening to Transformation Life class. This bible study class focuses on spiritual tasks that include regular devotional times, changing the way of thinking from self-centered to other-centered, making up for one shortcoming that interferes with religious life, and establishing new habits. This is a class to practice form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God and cultivating loving relationships with neighbors.
사실, 제게 있어 제일 재미있었던 수업은 많은 대화를 통하여 서로를 더 이해하고 사랑하게 되며, 하나님에 대해 오해하고 있었던 사실에 대해 깨닫고 알아감으로써 일상의 삶에 관련한 것들을 실제적으로 적용하고 실천함으로써 더 노력할 수 있었던 이 경건의 삶 수업이었으며 이 수업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저를 또 다른 차원으로 이끄시고 많은 것들을 다루셨고 여전히 다루시는 중이시라는 것을 고백합니다.
In fact, the most interesting class for me was that through many conversations, we came to understand and love each other better. By realizing and learning about our misunderstandings about God, we were able to work harder by practically applying and practicing things related to our daily lives. I confess that through this class, God led me to another level and that God has dealt with and is still dealing with many things.
가장 먼저, 제가 오해하고 있던 부분들을 하나님께서 어떻게 경건의 삶 수업을 통하여 바꾸셨는지 나누고자 합니다. 저는 모태신앙으로 자랐지만, 이십대부터 십년간 하나님을 떠나있었고 삼십대가 되고서야 하나님을 다시 찾았습니다. 하나님을 떠나 있는 동안 제게는 하나님에 대한 많은 오해들이 쌓여있었던 것 같습니다.
First of all, I would like to share how God changed my misunderstandings through Transformation Life classes. I was raised as a Christian, but I was separated from God for ten years starting in my twenties, and it was not until I was in my thirties that I found God again. While I was away from God, I think many misunderstandings about God had come.
내 마음대로, 내 뜻대로 되지 않는 여러상황들과 문제들. 도대체 그 많은 문제들 앞에 왜 내가 하나님을 계속 구하며 또 버티며 시선을 맞추어야 하는지, 왜 하나님께서 말씀하셨던 복종, 자기부인같은 단어들이 제게는 왜 그렇게 강압적이고 단순히 억눌러야하는 금욕주의처럼 들렸는지.
There are many situations and problems that did not go as I want or want. Why on earth do I have to keep seeking God and holding on to God in the face of so many problems? Why did words like submission and self-denial that God spoke of sound so oppressive?아마 이 복종이란 단어를 그때 이후부터 마음 속에 깊이 김추어두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번 경건의 삶 수업을 통하여 하나님께서는 제 마음 깊숙히 밖혀있던 이것을 들쳐내셨습니다. 저는 하나님께 복종한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적어도 머리로는 알고 있다고 생각해왔었지만, 하나님께 복종한다는 것은 사실 저에게 있어 저의 자유와 정체성이 어느 정도 상실되는 것이라 생각해 오랫동안 이 부분에 대해 언급하길 꺼렸으며 두려워했었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셨습니다.
I think I've probably had this word 'obedience' deep in my mind since then. However, through this study, God revealed what was hidden deep in my heart. I used to think that I knew at least in my head what it meant to obey God. but for a long time I was reluctant and afraid to talk about this because I thought that obeying God meant losing some of my freedom and identity.
하나님께 복종한다는 의미는 자기를 부인한다는 의미입니다. 제게 있어 자기를 부인한다는 것은 자아 실현, 자아 성취라는 말과는 정반대되는 말로 들렸었지만 이번 수업을 통하여 예수님께서는 자기 부인이 진정한 자아 성취와 자아 실현에 이를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말씀하셨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Submitting to God means denying oneself. To me, self-denial sounded like the exact opposite of self-actualization and self-fulfillment, but through this class, I learned that Jesus said that self-denial is the only way to true self-fulfillment and self-actualization.
자기 부인은 자기 사랑과 대립되는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닌 우리 자신을 사랑하는 길임을 성경에서도 여러차례 밝히셨습니다. 또한 자기를 부인한다는 것은 정체성의 상실감이 아닌 다른 사람에게 양보할 수 있는 자유를 의미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The Bible also makes it clear several times that self-denial is not in conflict with self-love, but is a way to love ourselves. I also learned that denying oneself means not a loss of identity, but the freedom to yield to others.
저는 하나님께서 이미 주신 그 진정한 자유를 이제는 더 누리고 싶어졌고, 어떻게 예수님이 원하시는 리더쉽인 십자가의 삶을 살 수 있는가 라는 질문앞에 저는 하나님께 복종하는 것, 즉 사랑의 섬김을 통한 삶으로 나의 삶의 기초를 굳건히 다져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I now want to enjoy more of the true freedom that God has already given me. In response to the question of how I can live the life that Jesus wants, I have decided that the foundation of my life is obedience to God. In other words a life of loving service. I came to think that I needed to strengthen it.
또 다른 하나로는, 지난 몇 년간 저는 다시 하나님께 나아오면서 훈련에 초첨을 맞추었었고 그 중 치유라는 부분에 제 자신을 하나님 앞에 많이 집중했었습니다. 그리곤 어떤 일들에 대한 지속적인 결과를 생각하고 평가하며 나는 더 나은 사람이 되었나라는 질문에 Yes라고 대답할 수 없을 때는 많이 괴로워하기도 했었습니다.
Another thing is that over the past few years, I have focused on training and focused a lot on healing in God. And when I thought about my life and asked the question of whether I had become a better person, I couldn’t answer YES confidently.
하지만 하나님께서 말씀하십니다. 훈련의 목적은 자유에 있다고. 그때 저는 무언가 한 대 엊어맞는 것 같은 기분이 들었습니다. 다음 문장은 수업 때 함께 했던 책 본문에 나와있는 내용입니다. “훈련을 목표로 삼는 순간 우리는 훈련을 율법으로 바꾸어 놓게 되며 그 훈련에 상응하는 자유를 잃게 된다.”
But God says, ‘The purpose of training is freedom’. At that time, I felt like I had been hit by something. The following sentence is from the text of the book we shared in class. “The moment we make training our goal, we turn it into a law and lose the freedom from that training.”
이 문장을 읽는 순간, 어디선가 하얀 빛이 느껴졌습니다. 그것은 자유였습니다. 어떤 것에도 속박되지 않고 하나님 안에서 자유하며 자유할 수 있는 의지를 말입니다. 이렇게 하나님께서는 제게 자유를 선물해 주셨습니다.
The moment I read this sentence, I felt a light. It was freedom. A will that is not bound by anything and can be free and free in God. In this way, God gave me the gift of freedom.
마지막으로 이 수업을 기점으로 한 가지 선물을 더 주셨는데 그것은 남편과의 더 하나됨입니다. 저는 결혼 후 5년간 부딪히는 오직 한 가지 문제로 남편과 괴로웠던 시간들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하나님께서는 저의 지난 5년 동안 끊임없이 반복되고 낙담하여 해결될 수 없을 것 같았던 가장 큰 문제를 제게서 가져가셨습니다. Lastly, starting from this class, God gave me one more gift, and that was greater unity with my husband. In the five years since we got married, there have been times when my husband and I were distressed by a small problem. However, God took from me the biggest problem that had been constantly recurring. It was something something that we could not have done.
설령 같은 문제들이 일어난다 하더라도 하나님과 딜링할 수 있는 영적체력을 키워주셨습니다. 이렇게 저희 부부가 점점 더 하나되고, 하나님의 뜻을 따라 순복하고 순종하며 사는 삶이 얼마나 값지고 복된 길인지 저는 매일매일 깨달아가고 있습니다.
Even if the same problems arise, God has helped me develop the spiritual stamina to deal with God. In this way, my husband and I are becoming more and more one, and I am realizing every day how valuable and blessed a life of submission and obedience is to God's will.
여전히 저에게는 많은 숙제들이 있습니다. 언젠가는 하나님께서는 저의 영적체력이 더 자랐을 때, 제가 딜링할 수 있는 더 큰 내면의 것들을 드러내고 만지지 않으실까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I still have a lot of work to do. I sometimes think that one day, when my spiritual stamina grows, God will reveal and touch greater things within me that I can deal with.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오늘도 하나님을 의지하며 나아갈 수 있는 것은 이 방주공동체가 함께 기도하며 격려하고 기뻐하며 때로는 함께 울기도 하며 그렇게 서로 잡고 있는 손을 놓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Nevertheless, I think the reason I can move forward today, relying on God, is because this Bangjoo Church community prays together, encourages and rejoices together, sometimes even cries together, and does not let go of our hands.
지금까지 간증을 들어주신 이 곳에 계신 모든 성도님들을 축복하며, 또 앞으로 하나님께서 성도님들을 통하여 하실 일들을 기대하는 마음으로 이 간증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기도하시겠습니다.
I will end this testimony by blessing all the saints here who have listened to my testimony so far and looking forward to what God will do through them in the future. I will pray.